본문 바로가기
[파이썬] 슬라이싱 기본 규칙 - 문자열, 튜플, 리스트 파이썬의 슬라이싱 seq[start:stop:step]은 문자열, 리스트, 튜플 등 시퀀스 타입에서 특정 범위를 추출하는 도구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갖는다. 1. 기본 구조형식: seq[start:stop:step]start: 시작 인덱스 (포함)stop: 종료 인덱스 (제외, 이 인덱스 직전까지 포함)step: 이동 간격 (기본값 = 1)위 세 매개변수는 모두 선택적이며, 생략 시 기본값이 적용된다. 2. 기본 동작슬라이싱은 start에서 시작해 stop 직전까지 step 간격으로 요소를 추출한다. 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, 음수 인덱스도 사용 가능하다.  예시: text = "Python"인덱스: P(0) y(1) t(2) h(3) o(4) n(5)음수 인덱스: P(-6) y(-5) t(-4) h(-.. 2025. 3. 5.
[파이썬] 리스트 - 리스트 내용을 삭제하는 메서드 .remove(), .pop(), clear() 비교 메서드기능인자반환값특징remove(x)리스트에서 첫번째로 등장하는 x 삭제삭제할 요소 x(제거할 값을 받음)없음 (None)존재하지 않는 요소를 삭제하려 하면 ValueError 발생pop(i)i번째 요소 제거 후 반환삭제할 인덱스 i (인덱스 지정하지 않으면 마지막 요소 삭제)삭제된 요소인덱스를 벗어나면 IndexError 발생clear()리스트의 모든 요소 삭제없음없음 (None)리스트를 빈 상태 [ ]로 만듦 예제 코드lst = [10, 20, 30, 40, 50]# remove()lst.remove(30) # [10, 20, 40, 50]# pop()removed_item = lst.pop(1) # [10, 40, 50], removed_item = 20# clear()lst.clear() .. 2025. 2. 21.